주말동안 배웠던 HTML과 CSS의 이론을 복습하였는데,

아직도 Flexbox에 대한 개념이해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저번주 금요일에 만들었던 계산기를 추가적으로 수정하는 작업을 하였다.

 


 

일단 인터넷에서 볼 수 있는 계산기럼 숫자버튼이 아닌

연산부호나 초기화 같은 버튼에 색을 구별하여 추가하기 위해

각 클래스의 이름을 'ot' 와 'os'로 분류하였다.

그 후 칙칙했던 계산기에 색깔을 입혀주었다.

 

 

그 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 놓으면 색깔이 살짝 변하게 할 수있는

'hover'를 추가하였다.

 input[type=button]:hover{
  opacity: 0.8;
  }

 

그 후 버튼들을 크게 감싸고 있던 border를 지움으로써 좀 더 깔끔하게 수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3일차에 배웠던 '구글폰츠'에서

폰트를 import로 가져와서 폰츠를 추가하며

전체 구역의 글씨를 bold로 두껍게 하였다.

* setting


마지막으로 부드러운 이미지를 추가하기 위해

 

각 꼭지점을 둥글게 다듬어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계산기 전체의 radius는 15px로 설정하였고,

 

버튼들은 각각 5px로 설정하였다.

 

※radius는 px을 물론 %로도도 변경가능하다.


 

이 사진은 수정 후 계산기의 UI이다.

1차 수정 계산기 UI


<Visual Studio Code>

index.html

 

 

 

 

 

 

 

style.css(1)
style.css(2)

ps) 추가적으로 오늘 <input type="button" class="button ot" value="AC"> 같은 코드가 아닌

                                  <button class="ot>AC<button> 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배웠고,

       Flexbox에 대해 더 배웠는데 이 점은 아직 부족하기에 더 공부해야 한다고 느꼈다.

 

와이어프레임

웹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레이아웃의 뼈대

단순한 선이나, 도형으로 웹이나 앱의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묘사

특정 목적을 가진 와이어프레임

대부분 콘텐츠의 흐름은 좌에서 우,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

CSS로 화면을 구분할 때는 수직 분할과 수평 분할을 차례대로 적용하여 콘텐츠의 흐름을 따라 작업을 진행한다.

수직 분할: 화면을 수직으로 구분하여, 콘텐츠가 가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요소를 배치

수평 분할: 분할된 각각의 요소를 수평으로 구분하여, 내부 콘텐츠가 세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요소를 배치

 

기본 스타일링을 제거하는 CSS코드의 예시

 

Flexbox

박스를 유연하게 늘리거나 줄여 레이아웃을 잡는 방법

 

                        display: flex부모 박스 요소에 적용해, 자식 박스의 방향과 크기를 결정하는 레이아웃 구성 방법

 

우선 HTML로 3개의 <div> 요소를 자식으로 가진 <main> 요소를 작성

<main> 요소에는 빨간색 점선, <div> 요소들에는 초록색 실선으로 테두리를 설정

전체적으로 marginpadding 도 10픽셀씩 설정

 

결과물

이제 여기에 부모 요소인 <main> 요소에 display: flex 속성을 적용

Flexbox 속성들을 활용하면

요소의 정렬, 요소가 차지하는 공간을 설정 가능


 

flex-direction 속성은 부모 요소에 설정해주는 속성으로, 자식 요소들을 정렬할 정렬 축을 정한다.

아무 설정도 해주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가로 정렬

 

flex-wrap 속성은 하위 요소들의 크기가 상위 요소의 크기를 넘으면 자동 줄 바꿈을 할 것인지 정한다.

설정해 주지 않으면 줄 바꿈을 하지 않는다.

justify-content 속성은 자식 요소들을 축의 수평 방향으로 어떻게 정렬할 것인지 정한다.

요소들이 가로로 정렬되어 있다면 가로 방향으론 어떻게 정렬할 것인지,

세로로 정렬되어 있다면 세로 방향으론 어떻게 정렬할 것인지 정하는 속성

 

flex-direction : row 인 경우

 

flex-direction : column 인 경우

 

+

align-items 속성은 자식 요소들을 축의 수직 방향으로 어떻게 정렬할 것인지 정한다.

요소들이 가로로 정렬되어 있다면 세로 방향으론 어떻게 정렬할 것인지,

세로로 정렬되어 있다면 가로 방향으론 어떻게 정렬할 것인지 정하는 속성


Flex 속성

flex 속성에는 세 가지 값을 지정해줄 수 있다.

 

자식 요소에 flex 속성을 따로 설정해주지 않으면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콘텐츠의 크기만큼 배치된다.

ex) flex: 0 1 auto;

반드시 암기 :  grow(팽창 지수), shirink(수축 지수), basis(기본 크기)


 

지금까지 배운것으로 자바 스크립트로 동작없이 UI만 개발하였다.

HTML
CSS(1)
CSS(2)

이렇게 보기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만들어졌다.(Open live server 활용)

계산기 인터페이스(UI)

CSS란?

 

HTML로 구성한 구조의 외부와 내부를 꾸미는 역할을 담당한다.

 

웹 문서의 전반적인 스타일을 미리 저장해 둔 스타일시트이다.
문서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고, 세세한 스타일 지정의 필요를 줄어들게 하였다. -두산백과 디피디아

 

간단히 CSS 문법 구성에 대해 올려보았다.

CSS문법 구성

 

                                    우선 올라와있는 이러한 코드들을 코드펜을 이용하여 완전한 문장구조가 아니더라도 

Open in default browser처럼 코드를 실행할 수 있었다.

css 기초 코드

 

<HTML에 CSS파일을 추가하는 코드>

 

 

                               우선 작성된 HTML에 CSS를 더할 때 ID와 class를 구별해놓는게 기초이자 필수이다.

 

id는 고유값 1개이어야 한다.
같은 분류일 경우 class로 분류

 

 

ID class
#으로 선택 .으로 선택
한 문서에 단 하나의 요소에만 적용 동일한 값을 갖는 요소 많음
특정 요소에 이름을 붙히는데 사 스타일의 분류(classification)에 사용

 

css 기초 속성들

color 글자의 색상을 변경하는 속성
font 글꼴(google fonts에서 설치 or 링크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
font-size 글꼴의 크기를 변경(한글처럼 기본의 글자 크기가 지정됨)
font-weigt 글자의 굵기 변
text-decoration 밑줄, 가로
letter-spacing 자간
line-height

이 속성들은 필수라고 생각하고 암기하자


 

 

 

https://fonts.google.com/

 

Google Fonts

Making the web more beautiful, fast, and open through great typography

fonts.google.com

이 사이트로 들어가서 마음에 드는 폰트를 다운받을 수 있는데,

필자는 처음이라 한참을 헤맸기에 추가 설명을 할 것이다.

google fonts site

가장 대표적인 방법을 말하자면

숫자와 같이 원하는 폰트에 들어가서 1번 숫자가 써있듯이 원하는 글자크기나 굵기를 선택 후

2번과 3번을 복사하여 첨부하면 된다.

글 말단에 작성한 코드를 첨부할 예정이니 모르겠으면 보고 활용!

 

글꼴 크기, 화면크기 등을 다룰 때 크기의 단위가 매우중요하다.

 

절대 단위: px, pt 등

상대 단위: %, em, rem, ch, vw, vh 등

 

주로 절대단위는 기기나 브라우저 사이즈 등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절대적인 크기로 정하는 경우,

일반적인 경우 상대 단위인 rem을 추천한다.


흔히 박스모델이라고 불리우며 CSS위 기본 구조틀이다.


추가적으로 알아야 할 것들은 셀렉터가 있다.

전체 셀렉 * {} 문서의 모든 요소를 선택
태그 셀렉터 h {}, div {}, section {} 같은 태그명을 가진 모든 요소를 선택
복수로도 선택가
ID 셀렉터 #only {} #id로 입력하여 선택
class 셀렉 .widget {}, .center {} . 같은 class를 가진
모든 요소를 선택
attribute 셀렉 a[href] {}, p[id=only] {}  (모두 암기할 필요X)
자식 셀렉터 header > div {} 첫 번째로 입력한 요소의
바로 아래 자식인 요소를 선택
후손 셀렉터 header div {} 첫 번째로 입력한 요소의 후손 선택
형제 셀렉터 section ~ p {} 같은 부모 요소를 공유하면서,
첫 번째 입력한 요소 뒤에 오는
두 번째 입력한 요소를 모두 선택
인접 형제 셀렉 section + p {} 같은 부모 요소를 공유하면서,
첫 번째 입력한 요소 바로 뒤에 오는
두 번째 입력한 요소를 선택

 

block, inline, inline-block의 차이점 content-box, border-box차이점에

대해서는 아직 부족하여 더 공부할 예정이다.

 

 

html에는

<link rel = "stylesheet" href ="style.css> ------------추가

 

css만 추가적으로 만들었다.

style.css

 

완성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