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 화면을 좌측 정렬

 

Content  -> shift + alt + 왼쪽 상단

 

Content Size Fitter 컴포넌트 추가

 

그 후 컨텐트 안에 있는 이미지 컴포넌트를 만든 후 복사

 

그후 Spacing을 조절하면 복사된 이미지들이 공간이 생긴다.

 

ScrollView를 클릭후 Scroll Rect 를 생성하고

ScrollView를 할당시킨다음

Vertical를 체크해제 하면 된다.

TV 모양 마크를 클릭하면

기본 홈 창에서 팝업이 뜬다.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using UnityEngine.UI;

public class Main20240210 : MonoBehaviour
{
    [SerializeField] Button homeTv;
    [SerializeField] Button popUp;
    void Start()
    {
        homeTv.onClick.AddListener(()=>
        {
            popUp.gameObject.SetActive(true);
        });
    }


}

1 번째 슬라이더를 구현

 

여러 버튼중에 알람과 사운드를 만들었다.

 

 

슬라이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한 점이다.

유니티의 Slider 컴포넌트를 추가하고 막대영역인 Fill을 넣어준다.

또한 중요한 점은 이것인데,

슬라이더의 앵커프리셋을 우측으로 둬야 주황색 게이지가 같이 움직인다

앵커프리셋을 중앙으로 두면 슬라이더가 오른쪽에 있어도

오른쪽 끝까지 게이지가 찬 모습이 아닌 중간부터 좌측만 차있는 상태로 시작한다.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VisualScripting;
using UnityEditor.Timeline;
using UnityEngine;
using UnityEngine.UI;
public class Main20240209 : MonoBehaviour
{
    [SerializeField] Button btn1;
    [SerializeField] Button btn2;
    [SerializeField] Slider slider;
   
    void Start()
    {
        btn1.onClick.AddListener(() =>
        {
            this.btn1.gameObject.SetActive(false);
            this.btn2.gameObject.SetActive(true);
            slider.value = 0f;

        });

        btn2.onClick.AddListener(() =>
        {
            this.btn2.gameObject.SetActive(false);
            this.btn1.gameObject.SetActive(true);
            ;
            
        });
        slider.onValueChanged.AddListener(OnSliderValueChanged);
    }
    void OnSliderValueChanged(float value)
    {
        
        if (value == 0f)
        {
            btn1.gameObject.SetActive(false);
            btn2.gameObject.SetActive(true);
        }else if(value != 0)
        {
            btn2.gameObject.SetActive(false);
            btn1.gameObject.SetActive(true);
        }
        
    }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