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포트번호가 8080인데 80으로 바꾸면 다음부터는 포트 번호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Http는 기본 포트가 80이기 때문

 

Server(Tomcat) -> Service(Catalina) -> Engine -> Host(www.fastcampus.com) ->Context(ch2)

webapps 안에 war파일로 배포하면 자동으로 압축 해제

 

서버에 있는 web.xml은 모든 webapp의 공통 설정이고

 

Maven Depencies에 있는 web.xml은 개별설정이다.

 

원격 프로그램에서 서블릿 등록하고 url 연결하는 부분

이게 불편해서 어노테이션으로 바뀜

@Controller, @RequestMapping

 

매핑

둘중 하나 선택하는데 요즘은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추세

 

원격프로그램 등록과 url 매핑

 

MVC project를 로컬에서 만들수 없기에

 

기존의 firstSpring 폴더를 복사 +붙여넣기해서 새로 만들었다.

 

 

그리고 나서 붙여 넣기할때 프로젝트 이름을 변경하여 생성했다.

 

 

잘 만들어진 모습

 

 

새로 만들어진 ch2폴더의 pom.xml에 들어가서

 

 

firstSpring의 이름을 모두 찾아서 ch2로 replace 하였다.

 

 

 

하지만 다시 서버를 실행시켜보면 ch2가 아닌 firstSpring이 동작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우선 패키지뷰에서 폴더를 삭제하는 데

중요한건 저 체크표시를 하면 안된다. (그러면 전부 사라지는 것? 같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DRJojJvWuFo

 

그리고 원래 폴더가 저정되었던

생성된 경로에 들어가서 src와 pom.xml을 제외하고 모두 삭제

 

그리고 STS에 들어가서 import - Maven - Existing Maven Projects에서 Browse로 폴더를 찾아주고

import할 것만 클릭해서 가져온다.

 

그리고 서버를 다시 실행하면

실행도 잘 되고 기존의 firstSpring으로 시작 되었던 것이 ch2로 실행하게 된다.

 

만약에 마지막 과정에서 에러가 날 경우

서버가 한번에 동시에 두개를 실행하려 한 것일 수 있으니

서버를 중지했다가 다시키면서 ch2를 선택하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