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는 9가지 개념들이 있지만,

 

그 중에 크게 네가지 기본개념이 있다.

 

1. 캡슐화(Encapsulation)

2. 상속(Inheritance)

3. 추상화 (Abstraction)

4. 다형성 (Polymorphism)

 


느슨한 결합은

코드 실행 순서에 따라 절차적으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가 상징하는 실제 모습과 닮게 코드를 모아 결합하는 것을 의미

 

캡슐화라는 개념은 "은닉화"의 특징도 포함하고 있는데,

은닉화는 내부 데이터나 내부 구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만드는 것

 


 

예를들어 전화기로 가정을 들어보자

전화기에는 스피커 기능, 버튼 기능등 여러가지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우리가 사용할 때에는, 이러한 존재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수화기를 들고

버튼을 눌러서 해결하는 것으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단순화할 수 있다.

 

추상화는 캡슐화와 비교해서 종종 헷갈려 할 수 있는데

캡슐화가 코드나 데이터의 은닉에 포커스가 맞춰져있다면,

추상화는 클래스를 사용하는 사람이 필요하지 않은 메서드 등을 노출시키지 않고,

단순한 이름으로 정의하는 것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

 


 

속은 부모 클래스의 특징을 자식 클래스가 물려받는다.

부모/자식으로 이야기하기도 하지만 보다 그 특징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용어는

"기본 클래스(base class)의 특징을 파생 클래스(derived class)가 상속받는다"로 표현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부모/자식이라는 용어를 더욱 많이 사용한다.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다양한 객체를 처리할 수 있다.

 

1. 오버라이딩
하위 클래스에서 상위 클래스의 메서드를 재정의할 수 있고,

동일한 메서드 이름을 사용하면서 다양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2.업캐스팅
하위 클래스의 객체를 상위 클래스의 타입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위 클래스의 인터페이스에 맞게 다양한 하위 클래스 객체를 사용할 수 있다.


3.동적 바인딩
실행 시간에 객체의 실제 타입에 따라 메서드 호출이 결정된다.
객체의 타입에 따라 적절한 메서드가 호출된다.

document.createElement('div')

//div 요소 생성

const tweetDiv = document.createElement('div')
//tweetDiv에 div 요소 넣기


document.body.append(tweetDiv)
//바디에 tweetDiv를 추가


const oneTweet = document.querySelector('.tweet')

const tweets = document.querySelectorAll('.tweet')
//이렇게 가져온 요소들은 '배열이 아닌 유사배열'
정식 명칭은 Array-like-Object

getElementById와 quertSelector은 같은 의미이고,
이전 브라우저 호환성 떄문에 전자를 사용해야 할수도 있다.

container.append(tweetDiv)
//컨테이너에 tweewDiv를 추가

extContent를 사용해서, 비어있는 div 엘리먼트에 문자열을 입력
ex) oneDiv.textContent

oneDiv.classList.add('tweet')
//CSS 스타일링이 적용될 수 있도록, div 엘리먼트에 class를 추가

const container = document.querySelector('#container')
container.append(oneDiv)
// append를 이용해 container의 자식 요소로 추가

oneDiv.remove()
//remove를 활용해 삭제하기

document.querySelector('#container').innerHTML = '';
//컨테이너의 모든 자식 요소를 지우기
+주의사항: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Element/innerHTML#security_considerations


따라서 아래와 같은 removeChild 사용을 권고
const container = document.querySelector('#container');
while (container.firstChild) {
  container.removeChild(container.firstChild);
}
//자식 요소가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첫 번째 자식 요소를 삭제하는 코드

const container = document.querySelector('#container');
while (container.children.length > 1) {
  container.removeChild(container.lastChild);
}
//제목까지 삭제되기에 이를 방지하는 코드

const tweets = document.querySelectorAll('.tweet')
tweets.forEach(function(tweet){
    tweet.remove();
})
// or
for (let tweet of tweets){
    tweet.remove()
}
//직접 클래스 이름을 찾아서 지우는 방법



ex)

let elInputUsername = document.querySelector('#username');
elInputUsername.value = '김코딩'
let elSuccessMessage = document.querySelector('.success-message hide');
let elFailureMessage = document.querySelector('.failure-message hide');
elFailureMessage.classList.remove('hide');
elInputUsername.onkeyup = function(){
  console.log(elInputUsername.value);
  if(isMoreThan4Length(elInputUsername.value)){
    console.log('4글보자보다 크네');
  }else{
    console.log('짧다');
  }
}
function isMoreThan4Length(value){
  return value.length >=4;
}

01_Introduction

 

it('Matcher .equal 의 사용법을 학습.', function () {
    let expectedValue = 2;
    expect(1 + 1).to.equal(expectedValue);
  });

  it('Matcher .equal의 사용법을 학습.', function () {
    let actualValue = (1 + 1).toString();
    expect(actualValue).to.equal('2'); 
  });

 

02_Types-part1

 

it('expect의 전달인자로 들어간 표현식의 평가(evaluation) 결과를 예측.', function () {
    expect(1 + '1').to.equal('11');
  });

  it('expect의 전달인자로 들어간 표현식의 평가(evaluation) 결과를 예측.', function () {
    expect(123 - '1').to.equal(122);
  });

  it('expect의 전달인자로 들어간 표현식의 평가(evaluation) 결과를 예측.', function () {
    expect(1 + true).to.equal(2);
  });

  it('expect의 전달인자로 들어간 표현식의 평가(evaluation) 결과를 예측.', function () {
    expect('1' + true).to.equal('1true');
  });

잘못된 값들이라는 것만 인지하고 다 외울 필요는 없다.

 

03_LetConst

it("'const'로 선언된 변수에는 재할당(reassignment)이 금지됨.", function () {
    const constNum = 0;
    expect(constNum).to.equal(0);

    const constString = 'I am a const';
    expect(constString).to.equal('I am a const');
  });

  it("'const'로 선언된 배열의 경우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function () {
    const arr = [];
    const toBePushed = 42;
    arr.push(toBePushed);
    expect(arr[0]).to.equal(42);
  });

  it("'const'로 선언된 객체의 경우, 속성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function () {
    const obj = { x: 1 };
    expect(obj.x).to.equal(1);
    delete obj.x;
    expect(obj.x).to.equal(undefined);
    obj.occupation = 'SW Engineer';
    expect(obj['occupation']).to.equal('SW Engineer');
  });

 

04_Scope

it('lexical scope와 closure에 대해 다시 확인.', function () {
    let age = 27;
    let name = 'a';
    let height = 179;

    function outerFn() {
      let age = 24;
      name = 'b';
      let height = 178;

      function innerFn() {
        age = 26;
        let name = 'c';
        return height;
      }

      innerFn();

      expect(age).to.equal(26);
      expect(name).to.equal('b');

      return innerFn;
    }

    const innerFn = outerFn();

    expect(age).to.equal(27);
    expect(name).to.equal('b');
    expect(innerFn()).to.equal(178);
  });

 

05_ArrowFunction

  it('화살표 함수를 이용하여 클로저를 표현', function () {
    const adder = x => {
      return y => {
        return x + y
      }
    }

    expect(adder(50)(10)).to.eql(60)

    const subtractor = x => y => {
      return x - y
    }

    expect(subtractor(50)(10)).to.eql(40)

    const htmlMaker = tag => textContent => `<${tag}>${textContent}</${tag}>`
    expect(htmlMaker('div')('code states')).to.eql('<div>code states</div>');

    const liMaker = htmlMaker('li')
    expect(liMaker('1st item')).to.eql('<li>1st item</li>');
    expect(liMaker('2nd item')).to.eql('<li>2nd item</li>')
  })

 

06_Types-part2

it('참조 자료형을 변수에 할당할 경우, 데이터의 주소가 저장됨.', function () {
    const overTwenty = ['a', 'b', 'c']; 
    let allowedToDrink = overTwenty

    overTwenty.push('d');
    expect(allowedToDrink).to.deep.equal(['a', 'b', 'c', 'd']);
    overTwenty[1] = 'e';
    expect(allowedToDrink[1]).to.deep.equal('e');

    const ages = [22, 23, 27];
    allowedToDrink = ages;
    expect(allowedToDrink === ages).to.equal(true);
    expect(allowedToDrink === [22, 23, 27]).to.equal(false);

    const nums1 = [1, 2, 3];
    const nums2 = [1, 2, 3];
    expect(nums1 === nums2).to.equal(false);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const person = {
      son: {
        age: 9,
      },
    };

    const boy = person.son;
    boy.age = 20;
    expect(person.son.age).to.equal(20);
    expect(person.son === boy).to.equal(true);
    expect(person.son === { age: 9 }).to.equal(false);
    expect(person.son === { age: 20 }).to.equal(false);

 

07_Array

it('Array를 함수의 전달인자로 전달할 경우, reference가 전달됨.', function () {
    const arr = ['zero', 'one', 'two', 'three', 'four', 'five'];

    function passedByReference(refArr) {
      refArr[1] = 'changed in function';
    passedByReference(arr);
 
    expect(arr[1]).to.equal('changed in function');

    const assignedArr = arr;
    assignedArr[5] = 'changed in assignedArr';
    expect(arr[5]).to.equal('changed in assignedArr');

    const copiedArr = arr.slice();
    copiedArr[3] = 'changed in copiedArr';
    expect(arr[3]).to.equal('three');
  });

  it('Array 메소드 shift와 unshift를 확인.', function () {
    const arr = [1, 2];

    arr.unshift(3);
    expect(arr).to.deep.equal([3, 1, 2]);

    const shiftedValue = arr.shift();
    expect(shiftedValue).to.deep.equal(3);
    expect(arr).to.deep.equal([1, 2]);
  });

 

08_Object

it('Object를 함수의 전달인자로 전달할 경우, reference가 전달됨.', function () {
    const obj = {
      mastermind: 'Joker',
      henchwoman: 'Harley',
      relations: ['Anarky', 'Duela Dent', 'Lucy'],
      twins: {
        'Jared Leto': 'Suicide Squad',
        'Joaquin Phoenix': 'Joker',
        'Heath Ledger': 'The Dark Knight',
        'Jack Nicholson': 'Tim Burton Batman',
      },
    };

    function passedByReference(refObj) {
      refObj.henchwoman = 'Adam West';
    }
    passedByReference(obj);
    expect(obj.henchwoman).to.equal('Adam West');

    const assignedObj = obj;
    assignedObj['relations'] = [1, 2, 3];
    expect(obj['relations']).to.deep.equal([1, 2, 3]);

    const copiedObj = Object.assign({}, obj);
    copiedObj.mastermind = 'James Wood';
    expect(obj.mastermind).to.equal('Joker');

    obj.henchwoman = 'Harley';
    expect(copiedObj.henchwoman).to.equal('Adam West');

    delete obj.twins['Jared Leto'];
    expect('Jared Leto' in copiedObj.twins).to.equal(false);

    /*
 
    이와 관련하여 얕은 복사(shallow copy)와 깊은 복사(deep copy)에 대해
 
    */
  });

 

09_SpreadSyntax

 

빈 배열에 전개 문법을 사용할 경우, 아무것도 전달되지 않음

여러 개의 배열을 이어 붙일 수 있음

여러 개의 개체를 병합할 수 있음

Rest Parameter는 함수의 전달인자를 배열로 다룰 수 있게 함

Rest Parameter 전달인자의 수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 가능

it('Rest Parameter는 전달인자의 일부에만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function () {
    // rest parameter는 항상 배열입니다.
    function getAllParams(required1, required2, ...args) {
      return [required1, required2, args];
    }
    expect(getAllParams(123)).to.deep.equal([123, undefined, []]);

    function makePizza(dough, name, ...toppings) {
      const order = `You ordered ${name} pizza with ${dough} dough and ${toppings.length} extra toppings!`;
      return order;
    }
    expect(makePizza('original')).to.equal(`You ordered undefined pizza with original dough and 0 extra toppings!`);
    expect(makePizza('thin', 'pepperoni')).to.equal(`You ordered pepperoni pizza with thin dough and 0 extra toppings!`);
    expect(makePizza('napoli', 'meat', 'extra cheese', 'onion', 'bacon')).to.equal(`You ordered meat pizza with napoli dough and 3 extra toppings!`);
  });
});

 

10_Destructuring

it('rest/spread 문법을 객체 분해에 적용할 수 있다', () => {
    const user = {
      name: '김코딩',
      company: {
        name: 'Code States',
        department: 'Development',
        role: {
          name: 'Software Engineer'
        }
      },
      age: 35
    }

    const changedUser = {
      ...user,
      name: '박해커',
      age: 20
    }

    const overwriteChanges = {
      name: '박해커',
      age: 20,
      ...user
    }

    const changedDepartment = {
      ...user,
      company: {
        ...user.company,
        department: 'Marketing'
      }
    }

    expect(changedUser).to.eql({
      name: '박해커',
      company: {
        name: 'Code States',
        department: 'Development',
        role: {
          name: 'Software Engineer'
        }
      },
      age: 20
    }
     
    )

    expect(overwriteChanges).to.eql(
      {
        name: '김코딩',
        company: {
          name: 'Code States',
          department: 'Development',
          role: {
            name: 'Software Engineer'
          }
        },
        age: 35
      }
    )

    expect(changedDepartment).to.eql(
      {
        name: '김코딩',
        company: {
          name: 'Code States',
          department: 'Marketing',
          role: {
            name: 'Software Engineer'
          }
        },
        age: 35
      }
    )
  })

현재 본인은 데스크탑과 랩탑이 모두 있으나 사용하기 편한 데스크탑을 주로 사용중이다.

 

앞으로 개발을 하는데 있어서 mac을 사용하면 유지보수나 개발에 편리하다고 들어서 고민을 하다

 

우선 학원의 lental service를 신청하고 기다리고 있었다.

 

오늘 한 것은  우분투 설치 및 CLI를 배우고 nvm과 npm에 대해 기초적으로 배웠다.

 

window와 mac은 각각 설치 방법이 달라 mac을 받게 된다면 다시 설치방법을 보고 공부해야 할 것이다.

 


CLI(Command-Line Interface) 명령어

 

 

pwd : 현재 위치 확인하기

 

mkdir : 새로운 폴더 생성하기

 

ls : 특정 폴더에 포함된 파일이나 폴더 확인하기

 

explorer.exe . : WSL에서 현재 위치를 GUI로 실행하기

 

cd: 폴더에 진입하기

 

touch: 파일 생성하기

 

rm: 폴더나 파일 삭제하기 (파일을 지우려면 뒤에 -rf를 추가적으로 붙인다.)

 

mv: 폴더나 파일의 이름을 변경, 또는 폴더나 파일의 위치 옮기기

 

cp: 폴더나 파일을 복사하기


Git 환경설정

 

사용자정보

$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나의 사용자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내 이메일 주소"

이 명령어들을 우분투나 VsCode같은 곳에 입력하면 된다.

 

SSH 키 생성

 

ssh-keygen

ssh-keygen 명령어는 경로 ~/.ssh./ 에 두 파일 id_rsa와 id_rsa.pub를 생성

이 두 파일은 ssh 키 페어라고 하며, 이 중 id_rsa.pub는 누구에게나 공개해도 되는 공개키(Public Key)라고 한다.

그리고 id_rsa는 공개되면 안 되고 나만 보관하고 있어야 하는 키라고 하여

개인키(Private Key) 또는 비밀키(Secret Key)라고 한다.

 

SSH 키 페어를 생성하였으므로, 생성된 키 페어 중 공개키를 복사하여 gitub에 등록

cat ~/.ssh/id_rsa.pub

1. Github로 이동하여 로그인

2. 우측 상단의 프로필 이미지 클릭 후 Settings에 진

3. 왼쪽의 내비게이션에서 SSH and GPG keys를 선택

4. 나타난 화면에서 SSH Keys 옆의 초록색 버튼 New SSH Key를 클릭

5. 등록한 SSH 공개키를 구분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임의로 Title을 작성,

Key에는 복사해 둔 공개키를 붙여 넣고, Add SSH Key 버튼을 클릭

6. Confirm access에서 Github 로그인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입력해 SSH key 등록을 승인

 

 

오늘 공부를 하며 번아웃은 아니지만 멘붕이 왔다.

조건문이나 반복문은 여러가지로 테스트해보며 내 생각으로 해도 오류가 나면,

Reference를 통하여 해답을 찾지는 못하더라도 해답에 대한 이유를 유추해 나갈 수 있었다.

 

하지만 깃허브를 사용해본적도 없고, 단지 몇일 전에 회원가입을 해놓았고, 링크를 통해 초대받은 주소로 들어왔다.

그런데 오늘은 깃허브에 계산기 파일을 올려놓았으니 다운 받아서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고 계산까지 포함해야 한다. (정답은 공개되지 않았다)

결과물은 깃허브에 파일을 첨부하여 제출해야 한다.

깃허브는 영어로 구성되어 있고, 같은 팀원인 Pair에게 도움을 받아 설정을 조금 해보았다.

 

Pair는 Mac을 쓰는 유저이고, 본인은 윈도우를 사용해서 나는 문제인지, 초기 셋팅에 오류가 있는건지 알 수 없었다.

본인뿐만이 아닌 다른 여러 학생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점에 대해 한 분이 언급을 디스코드 수다방에서 해주셨고, 과제 제출법에 대해 올려주신다했지만

현재 코딩에 몰두하고 싶은 나에게 기초적인 개발설정에 대한 도움말이 없기에  혼란스러운 상태이다.

 

코플릿에 올라온 문제들은 당일에 복습을 진행하였고,

advanced라는 태그가 붙어져 있는 문제들은 당장은 못 풀 수있다고 하니,

우선 주말에 advanced문제들을 풀어봐야 할것이며 깃허브에 대한 공부를 해야할 것 같다.

반복문은 크게 for문while 문으로 나누어 진다.

 

for 문

 

<for 문의 구성요소>

for (초기값; 조건식; 증감식) {
	// 실행할 코드
}

초기값: 증감식 반복 횟수를 카운트하는 역할을 하는 변수

조건식: 코드블록 내부의 코드를 실행 여부를 결정

증감식: 코드블록 내부의 코드를 실행한 후 초기값으로 선언된 변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표현식

// 코드가 실행될 때마다 i가 1씩 증가
for (let i = 1; i <= 3; i++) {
	console.log(i); // 1 2 3
}

구구단 5단을 출력하였다.

let으로 변수 5를 선언한 후

변수가 2이상이고 9이하이면 for 문으로 이어진다.

for문은 1부터 9까지 1씩 증가한 값을 출력하게 된다.

let num = 5;
if (num >= 2 && num <= 9) {
  for (let i = 1i <= 9i++) {
    console.log(num * i);
  }
else {
  console.log('2와 9사이의 수를 입력하세요.');
}

이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실행 결과

 

문자열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문자열 for문

이때 length에 -1 을 하는 이유는 ?

문자열 hello의 문자열의 개수는 5개이지만

index 번호는 0부터 시작이여서 4번에서 끝나게 된다.

만약 str.length-1가 아닌 str.length로 출력을 하게 된다면, undefined 라는 출력이 하나 더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결과를 얻게 된다.

 

 

반복문은 또한 중첩이 가능하다 그러기에 구구단도 출력이 가능하다.

반복문의 중첩 예제


while 문

 

초기화, 조건식, 증감식이 모두 필요한 for문과 달리

while문은 조건식만 입력한 후

조건식의 평가결과가 true인 경우 코드블록 내부의 코드를 반복하여 실행

 

이러한 for문

for (let num = 0; num < 3; num++) {
	console.log(num); // 0 1 2
}

이러한 while문으로 바뀐다.

let num = 0;

while (num < 3) {
	console.log(num); // 0 1 2
	num++
}

while문을 사용할 때는 무한루프를 주의해야 한다.

무한루프란 반복문이 종료되는 조건식이 항상 참으로 평가되어 무한히 반복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while문을 작성할 때는 조건식이 false로 평가되는 순간이 있는지 반드시 주의!

 

do...while 문

while 뒤에 오는 조건식이 true로 평가되는 동안 do 뒤에 오는 코드블록 내부의 코드를 반복하여 실행

단, 이 경우 do의 코드블록 내부의 코드가 최소 한 번은 실행

(뒤에 오는 조건문이 항상 fasle이라도)

 

for문, while문

for문과 while문의 용도는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while문으로 할 수 있는 것을 for문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for문으로 할 수 있는 것을 while문으로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로 사용하는 상황은 있다.

 

for문을 사용하는 경우

반복 횟수가 비교적 명확할 때

배열, 문자열 내부를 순회할 때

반복문의 중첩이 필요할 때


 

while문을 사용하는 경우

반복 횟수가 명확하지 않을 때

JavaScript란

 '웹페이지에 생동감을 불어넣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래밍 언어

 

원래 브라우저에서 실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그래서 HTML 파일과 JavaScript 파일을 함께 브라우저에서 실행해야 작동한다.

혹은 따로 Node.js라는 JavaScript 런타임을 컴퓨터에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처음에 좀 더 쉽게 JavaScript를 학습하기 위해서 StackBlitz에서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하였다,

 

기본적으로 출력을 할 수 있는 코드

console.log('hello world'); // hello world

 

문자열의 length 속성을 이용하여 문자열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console.log('안녕하세요'.length);        // 5


Number 타입

 

Math.floor(num.num): 괄호 안의 숫자를 내림하여 반환

Math.ceil(num.num): 괄호 안의 숫자를 올림하여 반환

Math.round(num.num): 괄호 안의 숫자를 반올림하여 반환

ㅡㅡㅡㅡㅡㅡㅡㅡ위에 항목들 소수점 처리ㅡㅡㅡㅡㅡㅡㅡㅡ

Math.abs(num): 괄호 안의 숫자의 절대값을 반환

Math.sqrt(num): 괄호 안의 숫자의 루트값을 반환

Math.pow(num, num) : 괄호 안의 첫 번째 숫자를 밑, 두 번째 숫자를 지수인 숫자를 반환


String 타입

 

문자열의 각 문자는 순서를 가지고 있는데 문자가 몇 번째에 위치하는지인덱스(Index)로 확인할 수 있다.순서는 0부터 시작한다. (이것을 Zero-based numbering이라고 한다.)

 

let str = '안녕하세요ㅕ'

console.log(str[0]);         //안

console.log(str[3])          //하

 

toLowerCase() :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경

toUpperCase() :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경

concat(str) : 문자열 연결 연산자 +처럼 문자열을 이어 붙일 수 있다

slice(num1, num2) : 문자열의 일부를 자를 수 있다.

indexOf('str') : 문자열 내에 특정 문자나 문자가 몇 번째 위치하는지 확인

1) 만약 찾는 문자가 2 개이상이면, 가장 앞에 있는 문자의 인덱스를 조회

2)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1 반환

includes() : 문자열 내에 특정 문자나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

 

<예시>

'HELLO WORLD'.toLowerCase(); // 'hello world'
'hello world'.toUpperCase(); // 'HELLO WORLD'
'hello '.concat('world'); // 'hello world'
'hello world'.slice(0, 5); // 'hello'
'최초의 JavaScript는 Netscape의 Brendan Eich에 의해 만들었다.'.indexOf('Eich'); // 34
'최초의 JavaScript는 Netscape의 Brendan Eich에 의해 만들었다.'.indexOf('Dahl'); // -1
'최초의 JavaScript는 Netscape의 Brendan Eich에 의해 만들었다.'.includes('Eich'); // true
'최초의 JavaScript는 Netscape의 Brendan Eich에 의해 만들었다.'.includes('Dahl'); // false

Boolean 타입

'사실 관계를 구분하기 위한 타입'

불리언 타입의 값은 true 혹은 false 둘 중 하나

 

비교연산자

두 값이 같은지 다른지를 확인할 때 유용

 

===, !== : 엄격한 동치 연산자

두 피연산자의 값과 타입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반환

 

==, != : 느슨한 동치 연산자

타입이 달라도 값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반환

ex) 12 == '12'    //true

 

> , < , >= , <= :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

부등호가 나온 후 등호가 나온다.

 

논리연산자

 

|| : 논리합(OR)

두 값 중 하나만 true여도 true로 판단

두 값이 모두 falsefalse로 판단

 

&& : 논리곱(AND)

두 값이 모두 truetrue로 판단

두 값 중 하나만 false여도 false로 판단

 

! : 부정(NOT)

사실 관계를 반대로 표현


변수

 

 

변수 선언 규칙

1. 변수의 이름은 영문자(대소문자), 숫자, 언더스코어(_)로만 구성된다.

2. 변수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될 수 없다.

3. 변수의 이름 사이에는 공백을 포함할 수 없다.

4. 예약어는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다.

 

네이밍 컨벤션

하나 이상의 영어단어를 사용하여 식별자를 만들 경우

가독성을 높힐 때 사용.

(자바스크립트는 주로 첫글자에 대문자를 쓰는 카멜 케이스를 사용)

 

템플릿 리터럴(template literal)

값을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백틱(`)으로 값을 감싸면 문자열(string) 타입이 되는데

이 중에서 백틱을 사용하는 방법

문자열 내부에 변수 삽입할 수 있는 기능

 

<사용전>

let course = 'SEB FE';
let cohort = 99;
let name = 'kimcoding';
console.log(course + ' ' + cohort + ' ' + name); // 'SEB FE 99 kimcoding'

 

<사용후>

let course = 'SEB FE';
let cohort = 99;
let name = 'kimcoding';
console.log(`${course} ${cohort} ${name}`); // 'SEB FE 99 kimcod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