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보간이란?

 

값을 포함하는 문자열 출력

 

Conosole.Write는 값을 출력만 한다

Console.WriteLine은 값을 출력하고 줄바꿈

 

방법 1

 

https://www.youtube.com/watch?v=PPjhCXCmtIs&list=PLTFRwWXfOIYBmr3fK17E0VhKPyYrGy75z&index=14

 

$ 와 " 사이에 공백이 있으면 안된다.

{ } 즉 중괄호는 쌍으로 있어야 한다.

 

방법 2

https://www.youtube.com/watch?v=PPjhCXCmtIs&list=PLTFRwWXfOIYBmr3fK17E0VhKPyYrGy75z&index=14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Step15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홍길동님 안녕하세요 출력
            //Console.WriteLine("홍길동님 안녕하세요");

            //이름이 변경될수 있으므로
            //"홍길동" 문자열 값을 변수에 저장
            //문자열 변수 name 선언
            string name = "홍길동"; // 변수 정의 및 값 할당
            //Console.WriteLine(name);

            //Write와 WriteLine의 차이
            Console.WriteLine(name);
            Console.Write(name);

            name = "임꺽정";
            Console.Write(name);
            Console.WriteLine(name);

            Console.WriteLine($"{name}님 안녕하세요");
            Console.WriteLine("{0}님 안녕하세요", name);

            //여러 변수의 있는 값도 가능
            //출력문 하나로 "33세 임꺽정님 안녕하세요." 출력하기
            //나이는 변할 수 있으므로 변수에 할당
            //정수형 age 변수 선언
            int age = 33;
            Console.WriteLine($"{age}세 {name}님 안녕하세요.");
            Console.WriteLine("{0}세 {1}님 안녕하세요.", age, name);
            //인덱스는 0부터 시작 1씩 증가, {}는 쌍으로 있어야 한다
            //값(변수) 목록은 ,(콤마)로 구분한다.
        }

    }
}

'Study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박싱과 언박싱  (0) 2024.05.25
[C#] 값형식과 참조형  (0) 2024.05.25
[C#] 형식 변환  (0) 2024.05.25
[C#] 열거형식  (0) 2024.05.25
[C#] 상수  (0) 2024.05.25

변수가 선언된 후에는 다시 선언되거나 다른 형식의 값이 할당될 수 없지만

 

형식이 변수의 형식으로 암시적으로 변환될 수 있는 경우는 예외

 

예를들어 string은 int로 암시적으로 변환될수 없다

 

int i;

i = "Hello";

 

암시적 변환 : 

변환은 항상 성공하고 특수 구문이 필요하지 않다

 

명시적 변환

명시적 변환에는 캐스트 식이 필요

https://www.youtube.com/watch?v=0GgMLPjxzFk&list=PLTFRwWXfOIYBmr3fK17E0VhKPyYrGy75z&index=14

 

 

C#에는 기본 데이터 형식을 다른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GgMLPjxzFk&list=PLTFRwWXfOIYBmr3fK17E0VhKPyYrGy75z&index=14

https://learn.microsoft.com/ko-kr/dotnet/api/system.convert.tosingle?view=net-8.0\

 

 

 

Convert.ToSingle 메서드 (System)

지정된 값을 단정밀도 부동 소수점 숫자로 변환합니다.

learn.microsoft.com

 

 

https://youtube.com/watch?v=0GgMLPjxzFk&list=PLTFRwWXfOIYBmr3fK17E0VhKPyYrGy75z&index=14

 

 

 

https://www.youtube.com/watch?v=0GgMLPjxzFk&list=PLTFRwWXfOIYBmr3fK17E0VhKPyYrGy75z&index=14

 

 

 

아스키 코드란?

128개의 부호로 영문 키보드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부호를 2바이트 이내로 사용 가능하게 한 체계

https://m.blog.naver.com/ycpiglet/222146759413

 

ASCII(아스키 코드)란 무엇인가? (유니코드, 패리티 검사 등)

ASCII란? 아스키(ASCII)란, 미국 국립 표준 협회(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

blog.naver.com

 

 

 

유니코드란?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컴퓨터에서 일관되게 표현하고 다를 수 있도록 설계된 산업 표준

 

 

 

정수를 문자열로 반환하는 것에 대해 같으나

찾아보니 변수나 객체가  null인 경우 처리하는 것이 다르다.

 

12hong인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바꿔보려 했지만 오류가 난다.

 

 

 

그래서 문득 들은 생각이 각 알파벳마다 아스키코드로 지정해 놓은 숫자가 있는데

왜 안되는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찾아보니..

  1. Convert.ToInt32() 메서드는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할 때 숫자로 시작하는 부분까지만 처리하고 그 뒤의 문자는 무시합니다. 따라서 "12"까지만 인식하고 "h"부터는 인식하지 못합니다.

라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명시적 변환

 

암시적 변환

 

'Study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값형식과 참조형  (0) 2024.05.25
[C#] 문자열 보간  (0) 2024.05.25
[C#] 열거형식  (0) 2024.05.25
[C#] 상수  (0) 2024.05.25
[C#] Var 키워드  (0) 2024.05.25

https://learn.microsoft.com/ko-kr/dotnet/csharp/language-reference/builtin-types/enum

 

열거형 형식 - C# reference

선택 또는 선택의 조합을 나타내는 C# 열거형에 대해 알아봅니다

learn.microsoft.com

 

class 키워드 대신 enum 키워드와 함께 정의할 수 있다.

enum과 final, abstract 키워드를 함께 사용하면 컴파일 에러가 난다.

enum은 암시적으로 final을 의미하기 때문이고, enum은 상속받거나 상속 할 수 없기 때문이다.

https://velog.io/@maigumi/Enum

 

열거형 Enum

자바 enum

velog.io

 

 

값에는 종류가 있고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키워드가 다름

 

미리 정의되어 있는 키워드 이외

사용자가 직접 타입을 만들 수도 있다.

 

상수들을 묶어 열거형이라는 이름으로

사용자 정의 타입을 만들어 보자

 

열거형은 상수들의 집합

 

열거형을 정의하려면 enum 키워드를 정의하고

열거형 멤버의 이름을 지정

 

https://www.youtube.com/watch?v=vixfkrzmK3E&list=PLTFRwWXfOIYBmr3fK17E0VhKPyYrGy75z&index=12

 

기본적으로 열거형 멤버의 연결된 상수 값은 int형식

 

0으로 시작하고 정의된 텍스트 순서에 따라 1씩 증가

 

Spring <------------ 0

Summer <--------- 1 

등등..

 

연결된 상수 값을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ixfkrzmK3E&list=PLTFRwWXfOIYBmr3fK17E0VhKPyYrGy75z&index=12

 

열거 형식을 정의한다는 것은

새로운 타입 정의를 의미

 

변수 정의와 헷갈리면 안된다.

 

열거 형식 정의는 class 내부 또는

namespace내부에서 하자

 

열거형식 변수 정의

Season season;

 

열거형식 변수에 값 할당

season = Season.Spring;

 

열거 형식 변수값 출력

Console.WriteLine(season);

 

열거형 변수의 값은 할당된 열거형 멤버이름으로 출력된다.

 

namespace Step13
{
    internal class Program
    {
        enum Season //의미 있는 이름이면 좋다. => 열거형 Season 정의
        {
            Spring, // => Season.Spring = 0
            Summer, // => Season.Summer = 1
            Autumn, // 즉 1씩 증가하는데 명시적으로 값을 할당 가능
            Winter = 10 // 맨뒤에 ;(세미클론)을 붙이면 오류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um Season 변수 선언
            Season season;
            //변수 명 앞에는 타입
            //열거형 Season 타입의 변수 season

            season = Season.Spring; //.을 찍으면 정의한 상수 맴버들이 나온다.
            season = Season.Winter; // 방향키를 통해 맴버들을 선택 가능
            Console.WriteLine(season); // Winter => 출력 값은 정수 값이 아니라 상수 맴버 이름

            //변수의 메모리 장소에 새로운 값이 할당되었기 때문에 출력이 바뀜
            

        }
    }
}

'Study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문자열 보간  (0) 2024.05.25
[C#] 형식 변환  (0) 2024.05.25
[C#] 상수  (0) 2024.05.25
[C#] Var 키워드  (0) 2024.05.25
[C#] 오류와 디버깅  (0) 2024.05.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