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클래스 만들기

 

다이스 이미지파일 다운로드 후 src - main - webapp - resources 안에 붙여넣기

 

 

package com.fastcampus.ch2;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Controller //ctrl + shift + o => 자동 import
public class TwoDice {
	@RequestMapping("/rollDice")
	public void main(HttpServletResponse response)throws IOException {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tf-8");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out.println("<html>");
		out.println("<head>");
		out.println("</head>");
		out.println("<body>");
		out.println("<img src = '/img/dice1.jpg'>");
		out.println("<img src = '/img/dice2.jpg'>");
		out.println("</body>");
		out.println("/html>");
	}

}

 

 

서버를 킨후 뒤에 /rollDice를 붙여 넣어준다.

 

이렇게 나올텐데 당황하지 말고 우클릭 후 페이지 소스보기

 

이번엔 검사를 했다.

경로가 잘못되어서 이미지가 나오지 않음.

경로를 바꾸어서 입력하였다.

 

코드에서 경로를 바꿔야 한다.

경로에 resources를 한번 타고 들어가야하기 때문에 resources/ 를 추가

 

 

Math.random() * 6은 0~5까지라서 + 1

이 때 중요한 것은 문자열을 어떻게 붙이는지 이다. + " aaaa" + 가 아닌 "+aa+" 이다.

 

이제 새로고침할때 마다 주사위의 숫자가 다르게 나온다.

 

프로그램의 진행 순서로를 보기 위해 16째줄 우클릭 후 브레이크 포인트(중단점)

 

run as 가 아닌 debug as로 접속을 하면 화면이 멈춰지고 디버깅 내용이 찍힌다.

 

 

Http프로세서가 요청을 받아 요청정보를 Request 객체 담아서 보낸다.

스레드에서 프로세서 엔진 그리고 컨텍스트로 진행 중을 볼 수 있다.

엔진안에 호스트 그 안에 컨텍스트가 있기 때문

그리고 디스패처 서블릿이 받는다.

컨트롤러로 이동

 

+ Recent posts